센터개요
추진배경 및 경과
추진배경
희소금속 소재산업 발전대책(2009.11)중 범 정부적인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희소금속 산업기술센터 설립 및 희소금속산업 육성협의회 구성.운영> 전략 포함
희소금속 기술개발 자원을 중심으로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운영 등을 위한 기술센터 설립
- 전략 희소금속선정 및 핵심 원천기술과제 발굴, 소재 수요 기업 및 재활용 산업간 연계 체계 마련, 인력교육, 국제 협력체계 구축
추진경과
희소금속의 공급 안정과 희소금속 관련 공동 연구기반 구축 및 기술지원을 위한 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 설립(2010.01.28)
- 2020
-
- 2020. 01.한-중 희토신소재 기술개발 세미나 (인천송도)
- 2019
-
- 2019. 04.우즈벡 내 '한-우즈벡희소금속센터' 개소 (알말릭공업공사 치르치크 사업소 위치)
- 2017
-
- 2017. 11.생기원-우즈벡 대외무역부-알말릭광업공사 3자간 후속 MOU 협약
- 2017. 04.한-우즈벡 `제2회 한-우즈벡 희소금속 워크샵’ 개최 및 산업시찰(타쉬켄트)
- 2016
-
- 2016. 12.한-우즈벡 희소금속 전문가 중심, `제1회 한-우즈벡 희소금속 워크샵‘ 개최 (인천)
- 2016. 09.제8차 한-우즈벡 무역경제협력 공동위원회 의제로 선정, 희소금속분야 정부간 MOU 체결
- 2016. 07.한-우즈벡 희소금속분야 협력 방안 협의(타쉬켄트)
- 2015
-
- 2015. 09.제2회 한-중 워크숍 (중국 베이징)
- 2015. 09.제4회 한-일 워크숍 (일본 센다이)
- 2015. 07.제3회 일반계 고등학교 대상 체험학습 실시 (인천/ 충남)
- 2015. 02.제4회 국제 협의체 워크숍 (제주도)
- 2014
-
- 2014. 12.6회 희소금속 산업기술 국제 워크숍
- 2014. 07.5회 희소금속 산업기술 국제 워크숍 및 제5회 희소금속 산업발전 중소기업 포럼
- 2014. 03.국제 표준 제정(ITU-T L.1101)
- 2014. 03.희소금속 및 전자폐기물 재활용 주제 제 5회 ASTAP 산업워크샵 개최
- 2014. 01.희소금속 국제협의체 공식사무소 유치
- 2013
-
- 2013. 12.독일 라이프니츠 IFW 연구소 공동연구센터 설립
- 2013. 12.호주 Curtin University MOU 체결
- 2013. 11.제4회 국제 한일 워크샵 개최 (일본)
- 2013. 11.2013 국제 세라믹/희소금속/복합재료 전시회 개최
- 2013. 10.제3회 희소금속 국제워크샵 공동개최 (몬트리올)
- 2013. 07.제2회 전국 중등교원 및 인천소재 고등학생 교육연수 실시
- 2013. 04.기업전용연구시설 입주기업 출범식 및 제4회 국제 한.중 워크샵 개최(인천)
- 2013. 01.인천 테크노파크 기업전용연구시설 기업입주
- 2012
-
- 2012. 11.제5회 희소금속산업 육성협의회 개최
- 2012. 11.제2회 희소금속 국제워크샵 한.미 공동개최(보스턴)
- 2012. 10.제3회 국제 한.일 워크샵 및 중소기업포럼개최(서울)
- 2012. 07.제1회 인천시 중등교원 교육연수 실시
- 2012. 05.제4회 희소금속산업 육성협의회개최
- 2012. 05.제2회 국제 한.독 워크샵 및 중소기업포럼 개최(인천)
- 2012. 03.일본 Nagaoka Univ. MOU 체결
- 2012. 02.국제 표준 제정(ITU-T L.1100)
- 2012. 02.인천시 지원 인천 테크노파크 임대
- 2011
-
- 2011. 11.제1회 희소금속 산업 발전 중소기업 포럼 개최
- 2011. 10.한인 워크숍(인도네시아)
- 2011. 10.인도네시아 Indonesia Univ, MOI(인도네시아 산업부), MOU 체결
- 2011. 10.제1회 국제 한.인 워크샵 개최(인도)
- 2011. 09.제3회 희소금속산업 육성협의회 개최
- 2011. 09.영국 York Univ. MOU 체결
- 2011. 05.제2회 희소금속산업 육성협의회 개최
- 2011. 04.미국 Ames Lab. MOU 체결
- 2011. 04.제1회 희소금속국제워크샵 개최(인천)
- 2011. 02.독일 IFW MOU 체결
- 2010
-
- 2010. 01.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 출범(인천연구센터) 및 희소금속산업 육성협의회 구성
- 2010. 01.희소금속산업 지원인프라 구축 예산 상정(국가재정운용계획, 지식경제부 철강화학과)
센터설립 필요성 및 목적
필요성_희소금속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할 중심기관이 필요
국내 희소금속산업구조는 국외 의존형으로 향후 지속 가능한 제조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선순환 산업구조가 요구
신성장동력 및 녹색성장을 견인할 희소금속산업을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육성할 중심기관 필요
설립목적_희소금속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기반구축 및 전문기업 육성을 위한 전문지원센터 역할 수행
희소금속 전략원소선정 및 핵심원천기술개발과 희소금속산업 육성 인프라 구축 및 전문기업 육성 지원
역할과 기능
한국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 역할 및 기능
희소금속산업 기술지원 및 개발을 중심으로 종합 정보 시스템 구축.운영 등을 위한 지원센터 구축

소재화를 중심으로 자원개발, 비축, 순환정책 연계 (희소금속 소재산업 육성 및 전략 희소금속의 선정과 핵심 원천기술 과제 발굴)
희소금속 광산 조사활동 활성화, 비축 수요 조사 및 비축규모 확대, 원천기술 개발 보급 확산, Pilot Plant 구축 시제품 개발 지원, 제품시험 평가분석 지원, 재활용 관련 기업애로 해소, 비폐자원 유통 소재화 기업간 연계,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및 국제협력, 통계구축 및 기술인력 양성을 통해 소재화를 중심으로 자원개발, 비축, 순환정책 연계, 희소금속 소재산업 육성 및 전략 희소금속의 선정과 핵심 원천기술 과제 발굴
한국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
- 자원개발 및 비축
- 한국광물자원공사
- 조달청
- 소재화
- 소재기업 및 수요기업
- 출연연구소
- 재활용
-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
- 한국환경공사
- 네트워크 구축
- 산학연
- 해외연구소 등
사업내용
한국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 구축
희소금속산업 기술지원 및 개발을 중심으로 종합 정보 시스템 구축.운영 등을 위한 지원센터 구축
희소금속 종합 정보시스템 운영
장비 활용도 향상을 위한 기업 연계 Open Lab. System 운영
희소금속 기술개발/지원 및 산업 정책 수립
장전략희소금속선정 및 핵심원천기술과제 발굴을 위한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및 희소금속 자원의 자립화를 실현하기 위한 종합정책 수립
- 희소금속 산업생태계조성을 위한 산업기술센터와 실용화센터의 연계
- 소재.수요기업 및 재활용 산업간 연계 체계 마련
희소금속 시험/분석기반 및 관련 인프라 구축
물성시험 / 초고순도분석시험 / 측정시험 장비 구축
- 산업인력 및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 기술선진국과의 기술교류를 통한 국제협력 프로그램 운영

한국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
- 산업활성화
- 연구활성화
- 기술개발 실용화 지원
정부/지자체
- 자금/행정지원
- 정책방향제시
산업체
- 기술지원
- 기술이전
- 인력/장비지원
- 산업화협력
실용화센터/대학
- 인력양성
- 정책협력
- 장비/인력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