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시작

희소금속 소개

희소금속의 정의

희소금속은 ① 지각 내에 존재량 자체가 적거나 경제성 있는 추출이 어려운 금속자원 중 현재 산업적 수요가 있고 향후 수요 신장이 예상되는 금속원소, ② 극소수의 국가에 매장과 생산이 편재되어 있거나 특정국에서 전량을 수입해 공급에 위험성이 있는 금속원소로 정의

우리나라는 현재 수요가 있는 것과 향후 기술혁신에 수반에 새로운 공업용 수요가 예측되는 것으로 35종, 56개의 금속원소로 정의함.

리튬, 마그네슘, 세슘, 베릴륨, 스트론튬, 바륨, 희토류, 티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븀, 탄탈륨,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망간, 레늄, 코발트, 니켈, 백금족, 카드뮴, 갈륨, 인듐, 탈륨, 붕소, 게르마늄, 인, 비소, 안티몬, 비스무스, 실리콘, 셀레늄, 텔루늄, 주석(단 희토류는 Rare Earth Element 17종, 백금족(PGM)은 백금족 원소 6종을 의미)

희소금속의 종류

희소금속의 종류표(구분, 종류, 원소, 종류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종류 원소 종류수
희소금속 알칼리/알칼리토 금속 Li, Mg, Cs, Be, Sr, Ba 6
반금속 원소 Ge, P, As, Sb, Bi, Se, Te, Sn, Si 9
철족원소 Co, Ni 2
보론그룹 원소 B, Ga, In, Tl, Cd 5
고융점금속 Ti, Zr, Hf, V, Nb, Ta, Cr, Mo, W, Mn, Re 11
희토류금속 REE (희토류원소): 17종 1
백금족 원소 Ru, Rh, Os, Pd, Ir, Pt 1
합계 35

주1) 귀금속중 백금족(6종)은 PGM 1군으로 분류
주2) 희토류금속 17종은 1군(REE, Rare Earth Element)으로 분류

희소금속의 분류기준

희소금속은 지역별(국가별), 시대별 분류기준이 상이함.

일본 : 稀少金屬(レアメタル) 31종

  • 한국대비 4종(마그네슘, 카드늄, 인, 실리콘) 제외
  • 희토류 16종(한국대비 스칸듐 제외), 백금족 2종(팔라듐,백금)

미국 : rare metal 33종

  • 한국대비 6종 제외(마그네슘, 니켈, 인, 비소, 안티몬, 주석)
  • 5종 추가(칼슘, 루비듐, 토륨, 우라늄, 플루토늄)

희소금속과 석유 비교

희소금속과 석유비교표(구분, 석유, 희소금속으로 구성되 있습니다)
구분 석유 희소금속
공통점 자원 유한성 보유량: 1조 2,379억 배럴
생산량: 298억 배럴 ('07)
보유량: 18억 5,000만톤
생산량: 5,200 만톤 ('06)
* 핵심10대 원소
보유량: 1억 7,200만톤
생산량: 270 만톤
자원 편중성 중동아시아: 61% 상위 3위국 보유/생산 점유률
- 60% 이상 원소: 20종/25종
- 90% 이상 원소: 6종/8종
가격 불안정 1차 ('73), 2차 ('78) 석유파동
'07~'08년 석유가격급등
원소별 가격급등 사례 다수
'02~'08 대부분 가격급등
차이점 위기 인지감도 위기에 대한 개인 인식이 높음 개인의 위기 인지감도가 낮음
가치사슬 단순한 가치사슬 복잡한 가치사슬
재생 가능성 현재기술로 재생 불가 다양한 재생기술 존재